본문 바로가기

서비스디자인18

디자인씽킹 (Design Thinking) 정의, 프로세스 및 활용 사례 디자인 씽킹 (Design Thinking)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은 사용자 중심의 문제 해결 방법론으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해 디자인 사고를 적용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이 방법론은 다섯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 문제 정의, 아이디어 도출, 프로토타입 제작, 테스트를 반복하여 최적의 해결책을 도출합니다.     1. 공감(Empathize)- 사용자와 직접 소통하거나 관찰을 통해 그들의 필요와 문제점을 깊이 이해합니다.- 인터뷰, 설문 조사, 현장 연구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감정과 경험을 파악합니다. 2. 문제 정의(Define)- 공감 단계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핵심 문제를 명확하게 정의합니다.- 문제 정의는.. 2024. 6. 18.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합격 소감, 준비 방법 및 활용 사례 따끈따끈한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국가자격증 자격증을 단 한번에 합격, 취득하였습니다. 다만 언제 활용하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자격증을 딴 소감과 준비사항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늦은 나이에 해도 늦는 공부란 없다, 시험 운이 없다고? 무슨 말인가. 도전은 목표를 향한 열정을 불태운다!) 1차 시험 준비를 위해 인터넷을 검색해서 자료들을 북마크, 스크랩 및 출력해서 줄을 그어가며 공부하고, 실기를 위해 이면지에 여러 도표와 그림도 그려가며 준비를 했습니다. 하지만, 필기 시험 2일 전날 극심한 허리 통증으로 인해 움직이기가 만만치 않아서, 급하게 한의원에 가서 원장님으로부터 자신있게 시험을 치러 서울로 갈 수 있을 거란 말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시험 전일 도저히 서울에 기차 타고 갈 수 없다.. 2024. 6. 18.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소개 및 2024년도 하반기 일정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는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 시험입니다.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사고를 기반으로 서비스 및 경험 디자인 컨셉과 모델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한국디자인진흥원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국가자격시험 홈페이지: https://designq.kidp.or.kr/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국가자격시험 designq.kidp.or.kr  시험 과목필기시험은 4과목으로 구성됩니다.서비스 디자인 기획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서비스 디자인 프로토타이핑 및 구현 서비스 디자인 운영 및 평가  *실기시험은 서비스 디자인 실무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응시 자격- 관련 학과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관련 분야 실무 경력자- 기타 관련 자격증 소지자 자세한 응시 자격 요건은.. 2024. 6. 18.
고객여정맵 (Customer Journey Map), 활용 사례 고객 여정 지도 즉 Customer Journey Map은 고객 경험을 시각적으로 표한한 그래프입니다.고객 여정 지도는 고객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고객이 어떤 단계를 거치고, 각 단계에서 어떤 생각과 감정을 느끼는지, 어떤 문제에 직면하는지 등을 파악하여 고객 경험을 개선하는 데 활용됩니다.  고객여정맵 구성 요소- 페르소나(Persona): 고객여정맵의 대상이 되는 가상의 대표 고객으로, 고객의 특성, 요구, 행동 패턴 등을 포함합니다. - 단계(Stages): 고객이 서비스를 경험하는 과정의 주요 단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인식, 고려, 구매, 사용, 사후 관리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행동(Actions): 각 단계에서 고객이 수행하는 .. 2024. 6. 17.
서비스디자인/디자인씽킹 -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은 영국 디자인 위원회(British Design Council)에서 개발한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 모델입니다. 문제 해결 과정을 두 개의 다이아몬드 형태로 시각화하여, 문제 발견과 정의 단계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고(발산), 솔루션 개발과 전달 단계에서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가는(수렴) 과정을 보여줍니다.    더블 다이아몬드의 4단계- 발견 (Discover): 문제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단계입니다. 사용자 조사, 인터뷰, 관찰 등을 통해 문제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정보를 수집합니다. - 정의 (Define):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핵심 문제를 정의합니다. 사용자의 진짜 니즈를 파악하고 문제의 범위를 명확히 설정합니다. - 개발 (Develop): 정의된 문제에 대한 다양.. 2024. 6. 17.
서비스디자인이란? 핵심 및 주요 방법론(도구) 서비스디자인은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서비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과정, 그리고 서비스 제공의 각 단계를 설계하는 방법론입니다. 이는 고객이 서비스를 경험하는 모든 접점에서의 경험을 최적화하고, 서비스 제공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서비스디자인은 인간중심적 접근을 통해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모두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서비스디자인의 구체적인 내용 1. 핵심 요소- 사용자 중심(User-centered): 고객의 필요와 경험을 중심으로 설계를 진행합니다.- 공동 창작(Co-creation): 다양한 이해관계자(고객, 직원, 파트너 등)의 참여를 통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발전시킵니다.- 전체론적 접근(Holistic Approach): 서비스의 모든 접점을 고려, 전체.. 2024. 6. 17.